1. 답사일시 : 2011년 6월6일(월)
2. 답사장소 : 원주시 흥업면 서곡리(용수골)
3. 답사후기
2004년도 내가 처음으로 "문화유적답사회" 란 카페에 가입하고 디지털 카메라를 준비하여 우리의 옛님들을 답사하며 최초로 카페에 올렸던 것이
용수골에 위치하고 있는 서곡리 석탑재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당시만 하더라도 서곡리 석탑재는 용수골 마을휴양지 매표소 입구 솔밭아래에
오고가는 사람들 잠시 앉아 쉬어가는 의자와 탁자로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우리 옛님들의 답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며 지금은 마을이장과
지역에 오랜동안 살고 계시는 분들이 탑재를 모아 보호하고 있으며 오늘 서곡사지에서 만난 70대 중반의 폐사지의 토지주인을 만나 그동안의
서곡사지에 대한 내력도 직접듣게 되었다.
서곡사지(후리절) 토지 주인의 말에 의하면 수년전만 하더라도 서곡사지는 밭으로 사용되었고 이후 논으로 개간하는 과정에서 밭아래에 뭍혀있던
탑재의 지대석과 기단석들이 출토되어 포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지금의 논두렁에 올려 놓았다 한다. 또한 포크레인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일부
기단석이 동강이 났지만 탑재의 기단부 일부는 지금도 논두렁에 위치해 있고 탑신부의 몸돌한개는 토지주인의 뜨락에 옮겨다 사리공이 있던
탑신을 돌절구로 아마도 사용한듯 하다. 그리고 또다른 기단석 한개는 서곡리를 오가는 정류장에 돌의자로 사용하고 있다기에 여러 탑재가
있는 부분을 답사하여 본다.
다행이도 이곳 이장님과 뜻있는 어르신들이 가급적 빠른 시일에 흩어져 있는 석탑재를 한데 모아 지금의 솔밭에 탑을 복원해 놓겠다고 하지만
자자체 행정당국의 관심이 더욱 요구되어집니다.
4. 답사 사진자료




< 논두렁에 방치되어 있는 석탑재 입니다. 석탑이 있던 밭을 논으로 개간하면서 이 석탑재들을 현재의 논두렁으로 옮겨 놓았다 하는군요, 토지주인의 이야기로는 석탑재
를 포크레인을 이용해 옮길대 일부는 깨어졌다고도 합니다. 풀숲에 놓여진 석탑재의 버팀기둥(탱주)의 양각현태가 확연하고 혹 1층기단면서으로 보여지나 다소 높은
편이로 보여집니다. >


< 토지주인 아저씨가 자기집 대문안에 탑몸뚱이가 있다고 해서 찾아가니 아주머니가 안계셔서 대문밖에서 확인한 탑신석으로 용수골 솔밭에 위치한 지붕돌을 볼때에
2층 몸돌로 보여지는 탑신석 1기가 뜨락 구석에 놓여져 있군요(전에 돌절구로 사용한것으로 추정됨) 대문사이로 담은 사진자료에 모서리 기둥이 확연히 보여지며
문헌에는 문비가 새겨져 있다고 하는 군요>










< 7전전만 하더라도 용수골 마을휴양지 매표소 입구에 의자와 탁자로 쓰이던 탑재인데 가지런에 쌓아 놓았군요 ㅎ~~ 앞의 석재는 배례석으로 보이며 둘레에 2미터 크기의 다듬은 석재는 지대석으로 쓰이던 석재 같아 보입니다. 맨아래 부분의 석재는 자세히 살펴보니 가장자리에 모서리 기둥이 양각되어 보이고 가운데에는 버팀기둥이
양각되어 보이는 것이 2층기단의 면석으로 보여지며, 두번째 석재는 2층기단 갑석위에 별도로 1층 탑신괴임석으로 사용하던 복련형태의 괴임석으로 보여지면 그위에
1층과 2층 지붕돌로 보이는 탑재가 올려져 있습니다. >




<서곡리에서 원주방향으로 가는 아스콘 도로변 정류장( 청솔보리밥집 옆 정류장)에 의자로 사용하는 석탑재입니다. 길이가 대략 3미터는 되어보이는 매우커다란 석재
이며 우측에 모서리기둥과 가운데 버팀기둥이 양각되어 있는 것이 확연히 보이며 이 석탑재도 1층 기단면석으로 사용되었던 탑재로 보입니다.>

< 2005년도 석탑재 모습을 담았던 사진자료입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