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 치 : 전남 영암군 영암읍 회문리 산26-8
2. 문화재명 :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보물 제1283호)
3. 답사후기
구정봉을 경유하며 산행안내 표지판에 씌여진 대로 약 500여 미터 능선을 따라 내려가 제일먼저 마애부처님을 친견하고 마애불 건너편 탑봉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세워진 삼층석탑을 답사하며 몇커트를 촬영한 후 안개가 걷히기를 기다려 원경에서 마애불을 촬영하고 다시 마애불을 경유 용암사지로 내려간다.
국보급 마애불과 보물급 문화재가 위치한 곳이라 비교적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 안내표지판을 새로이 깨끗하게 세워 놓았고 용암사지로 내려가는 계단길도
잘 정비되어 딩구는 낙엽을 밟으며 내려가는 마음은 어떤 미사여구로도 표현할 수 없는 그러한 기분이다. 용암사지로 내려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절구형 석조이고 산비탈 축대아래 자연샘과 초록색 머위잎으로 장식한 절터에 주초석이 답사하는 이를 반긴다.
그리고 동편 절터 언덕위에는 삼층석탑이 우뚝솟아 용암사지를 대변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삼층석탑으로 오르는 길은 잘 다듬어진 화강암 석재로 계단길이
형성되어 있고 오르는 길 바로 왼편에 석탑을 설명하는 안내간판이 세워져 있다.
여기에 용암사지 삼층석탑에 관련한 설명은 문화재청 안내문을 인용하여 올려 본다.
--------------------------------------------------------------------------------------------------------------------------------------------
자리임을 알게 한다. 1955년 ‘용암사’라고 쓰인 기와가 출토되어『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용암사’임을 알게 되었으나 구체적인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중심 건물터 남동쪽에 있는 이 탑은 일명 ‘탑봉’이라 불리는 바위 위에 세워져 있다.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2단으로 두었으며, 그 위로 3층의 탑신
(塔身)을 쌓아 올렸다.
둘레에 구역을 조성한 기단은 각 면마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겨 두었다. 기단의 윗면에는 높직한 괴임 2단을 별도의 돌로 끼워 두었는데,
이 가운데 1매가 없어져 1966년 복원공사를 하면서 새로이 보충해 놓았다. 탑신의 1층 몸돌은 2매의 돌로 구성하였고, 2·3층 몸돌은 각각 1매로 하였으며, 각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붕돌은 1·2층은 2매로, 3층은 1매로 구성하였으며, 지붕돌 밑면의 받침 역시 1층은 5단, 2층은 4단, 3층은 3단을 두어
한 단씩 줄어들고 있다. 윗면 모서리는 석탑에서는 흔치 않게 두툼하게 표현하였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네모난 받침돌만 남아 있다.
1966년 무너진 석탑을 다시 세울 때, 아래층 기단에서 백자사리호 1점, 금동보살좌상 1점, 청자대접 1점, 사리 32과, 철편 11점 등이 발견되었다.
백자사리호 1점, 금동보살좌상 1점, 청자대접 1점, 사리 32과, 철편 11점 등이 발견되었다. 용암사지는 해발 804m의 월출산 구정봉 아래 지역에 있는 사지로서
약 300평 부지에 수많은 와편과 주초가 남아 있다.
사지 중심지역에서 약 50m 떨어진 사지 입구지역에는 석종형부도 2기가 있고 북서쪽에는 국보 제144호로 지정된 마애여래좌상이 있으며, 마애여래좌상에서
서쪽으로 약 150m거리에 1층탑신과 3층까지의 옥개석만 남아있는 삼층석탑이 있다. 사지 중심지역에서 남동쪽 약 20m거리에 본 삼층석탑이 있다. 중심건물지
남동쪽에 있는 일명 탑봉 암반위에 세운 단층기단의 삼층석탑이다. 자연암반을 지대석으로 삼고 4매의 기단 하대석 둘레에는 탑구(塔區)(ㄱ형과 ㅡ자형 별석
8매로 구성됨)를 조성하였는데 하대석쪽으로는 4분원의 몰딩을 각출하여 하대석을 감싸고 있다. 2단 괴임위에는 8매의 면석을 두었는데 좌우에 양 우주와
중앙에 탱주 1주씩을 조각하였고 넓직한 갑석(4매로 구성됨)에는 부연을 조각하였다.
갑석 상면에는 높직한 괴임 2단을 4매의 별석(別石)으로 조성하였는데 이 중 1매가 멸실되어 1996년 복원공사시 보충하여 설치하였다. 1층탑신은 상부에 또
하나의 부재를 얹어 2매로 구성하였고 2, 3층 탑신은 각각 1매로 되어있으며 각층 탑신에는 우주를 조각하였다. 1, 2층 옥개석은 2매로 구성하였고 3층 옥개석은
1매로 되었으며 옥개받침은 1층 5단, 2층 4단, 3층 3단을 두었으며, 또한 지붕낙수면에는 각각 두툼한 귀마루를 조각하여 석탑에서는 흔치않은 수법으로 되어있다.
3층 옥개석 위에는 찰주공이 있는 노반이 있고 그 이상은 멸실된 상태이며 현존 높이는 4.7m이다.
4. 답사 사진자료 담기
'문화유적 답사기 > 호남 제주권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시 원효사 석탑 (0) | 2011.11.19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0) | 2011.11.10 |
월출산(용암사지) 탑봉 삼층석탑 (0) | 2011.11.07 |
월출산 용암사지(석조, 초석, 자연샘) (0) | 2011.11.07 |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0) | 201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