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도리의 신변 > 이런글 저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웰컴투 동막골에서 (0) | 2007.06.30 |
---|---|
강원도 이장님의 새마을 방송 (0) | 2007.06.24 |
악휘봉 산행에서 야생화 (0) | 2007.04.23 |
그대가 있어 난 행복합니다. (0) | 2007.02.28 |
번개불에 콩구워 (0) | 2007.02.26 |
웰컴투 동막골에서 (0) | 2007.06.30 |
---|---|
강원도 이장님의 새마을 방송 (0) | 2007.06.24 |
악휘봉 산행에서 야생화 (0) | 2007.04.23 |
그대가 있어 난 행복합니다. (0) | 2007.02.28 |
번개불에 콩구워 (0) | 2007.02.26 |
강원도 이장님의 새마을 방송 (0) | 2007.06.24 |
---|---|
손녀 희애의 누가누가 잘하나 (0) | 2007.04.27 |
그대가 있어 난 행복합니다. (0) | 2007.02.28 |
번개불에 콩구워 (0) | 2007.02.26 |
머니~ 머니~ 머니~~ (0) | 2007.02.19 |
손녀 희애의 누가누가 잘하나 (0) | 2007.04.27 |
---|---|
악휘봉 산행에서 야생화 (0) | 2007.04.23 |
번개불에 콩구워 (0) | 2007.02.26 |
머니~ 머니~ 머니~~ (0) | 2007.02.19 |
제주모임 준비들 잘되어 가시지요? (0) | 2007.02.15 |
악휘봉 산행에서 야생화 (0) | 2007.04.23 |
---|---|
그대가 있어 난 행복합니다. (0) | 2007.02.28 |
머니~ 머니~ 머니~~ (0) | 2007.02.19 |
제주모임 준비들 잘되어 가시지요? (0) | 2007.02.15 |
나날이 발전하는 다음 불로그 (0) | 2006.11.21 |
돈 을 영어로----------------- 머니 ( Money)
도둑이 훔쳐간 돈------------- 슬그~머니(Money)
계란살때 지불한 돈------------에그~머니(Money)
생각만해도 찡~~한돈-----------어~머니(Mother)
아이들이 좋아하는 돈----------할~머니(Money)
아저씨들이 좋아하는 돈--------아주~머니(Money)
며느리 들이 싫어하는 돈-------시어~머니(Money)
그대가 있어 난 행복합니다. (0) | 2007.02.28 |
---|---|
번개불에 콩구워 (0) | 2007.02.26 |
제주모임 준비들 잘되어 가시지요? (0) | 2007.02.15 |
나날이 발전하는 다음 불로그 (0) | 2006.11.21 |
미안해요 축하해요 (0) | 2006.11.07 |
퍽하니 픽하고 쓰러지듯
아! 하니 어? 하고 벌써 2월이
반으로 꺽이고 있습니다.
칠성회원님들 3월1일 제주도 모임
모두들 기대하고 계시지요?
설명절이 3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부모님 계신 횐님들 그동안 부모님을
찾아뵙지 못하였음 이번에 조상님부터
차례로 인사올리고 부모님께 만수무강 세배드리고
그렇게 하시겠지요 ^^
저야 부모님 모두안계시니 차례로 인사올려야지요 ㅎㅎ
번개불에 콩구워 (0) | 2007.02.26 |
---|---|
머니~ 머니~ 머니~~ (0) | 2007.02.19 |
나날이 발전하는 다음 불로그 (0) | 2006.11.21 |
미안해요 축하해요 (0) | 2006.11.07 |
오늘 KTF 와의 경기 (0) | 2006.11.05 |
ㅎㅎㅎ
하루 잠시 휴식을 내어 찾아오는 내 불로그
찾아올때 마다 블로그가 업그레이드 되네요
해서 자꾸만 좋은글, 예쁜글, 밑거름이 되는
자료들을 만들고 싶어 지네요
최신글들 앞에 슬라이드 사진자료
글 제목을 클릭하면 사진자료와 함께
글 내용을 보여주는 머리글
여러분~~~ 다음에 내불로그 하나씩 만들어
우리들의 지나온 이야기, 추억들을 모아
꾸며 보시지 않으시렵니까?
이제는 앨범이 필요 없을 것 같아요 ㅎㅎ
암튼 다음 불로그 운영자님들 고맙습니다
좋은 자료 간직하게 공간 만들어 주어서 ....
ㅎㅎㅎ 목록열기도 있군요
머니~ 머니~ 머니~~ (0) | 2007.02.19 |
---|---|
제주모임 준비들 잘되어 가시지요? (0) | 2007.02.15 |
미안해요 축하해요 (0) | 2006.11.07 |
오늘 KTF 와의 경기 (0) | 2006.11.05 |
표고재배(펌글) (0) | 2006.09.06 |
지난 토요일(11월4일) 멀리 제주에서 홀로계신 하늘사랑님 피아노사랑 내외분 얼마나 섭섭하셨습니까? 전혀 내색도 하시지 않으시고요 ^ ^ 미안해요, 그리구 사랑합니다. 지난 토요일 (음 9월14일) 하늘사랑님 생일 축하드립니다. 늦으나마 행복한 한주 되세요
|
머니~ 머니~ 머니~~ (0) | 2007.02.19 |
---|---|
제주모임 준비들 잘되어 가시지요? (0) | 2007.02.15 |
나날이 발전하는 다음 불로그 (0) | 2006.11.21 |
오늘 KTF 와의 경기 (0) | 2006.11.05 |
표고재배(펌글) (0) | 2006.09.06 |
참으로 힘들어 보였습니다.
머니~ 머니~ 머니~~ (0) | 2007.02.19 |
---|---|
제주모임 준비들 잘되어 가시지요? (0) | 2007.02.15 |
나날이 발전하는 다음 불로그 (0) | 2006.11.21 |
미안해요 축하해요 (0) | 2006.11.07 |
표고재배(펌글) (0) | 2006.09.06 |
[펌] 표고버섯 기르기
표고버섯 재배의 적지는 그늘이 넉넉한 동향 산기슭이다. 밤과 낮에 바람이
조금씩 부는 곳이 좋다. 거기에 물을 쉽게 가까이서 구할 수 있어야 한다.
표고균의 접종은 대략 3월 초순에 한다.
군 산림조합에 예약하면 된다. 그러면 임업시험장 정릉 버섯연구소에서 겨울 동안 발효한 표고균을 500그램씩 유리병에 포장하여
2월말까지 도착하도록 해준다.
표고균은 그늘진 곳에 보관하더라도 열흘 정도 지나면 접종률이 떨어지므로 주의한다.
표고 원목은 참나무 계열(보통 도토리나무가 주종임) 중에 수피가 유난히 두꺼운 굴참나무(코르크나무)를 제외한 모든 나무에
가능하다.
직경은 6센티 이상, 길이는 120센티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표고 원목용 참나무로 해묵은 것은 좋지
않다.
반드시 새해 초부터 2우러말까지 물이 막 오르기 시작한 생나무만 가능하다.
참나무는 가격과 운반비에 비해 너무
무겁기 때문에 4- 50킬로 미터 이내에서
구해야 한다.
읍 단위의 중심가에서 제일 큰 다방을 찾으면 쉽게 목상을 찾을 수
있다.
표고 버섯은 접종 후 만 2년 째부터 따기 시작해서 원목의 직경에 따라 5년 내지 8년쯤 수확할 수 있다.
전문적
재배업자들은 경영 효율상 6- 10센티 직경에 길이 120센티 짜리 참나무를 10월에 선금을 몽땅 내고 주문한다.
작은 직경의
원목은 가벼우므로 취급이 쉬우면서 동시에 5년 만에 완전한 채취가 한꺼번에 끝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규격의 나무는 원목 본당
1,200원 정도 한다.
길이가 180센티 가량되는 큰 참나무 일곱 대분을 살 경우, 한 차는 대략 8통 가량되며 가격은 한 차에
25만원 쯤으로 대략 700본 정도 된다.
그걸 둘로 잘라 90센티 길이로 만들어 쓰면 된다.
원목을 눕혀 놓고
사선으로 돌리면서 표고버섯 재배용 드릴로 목재 직경에
비례해 구멍을 뚫는다.
깊이는 자동으로 조절되는데 대략 2센티
정도이다.
구멍을 뚫은 곳에 종균병을 깨고, 종균을 표면에서 5밀리쯤 깊은 곳에 쑤셔 놓은 후
따로 구입한 스티로폴 마개로
막는다.
이러한 작업을 90센티 길이의 원목 곳곳에 해 놓는다.
우선 습기가 있고 그늘진 곳을 찾아 종균을 심은
원목을 눕혀 놓는다,
한줄에 원목 10개쯤 놓고 그 위에 또 원목을 우물 정자 모양 형태로 걽은 후
가마니를 덮는다.
요즘은 가마니도 구하기 어려우므로 짚단을 구해 펴서 일년 동안 그대로 두어도 좋다.
그 사이에 '세워 놓기'를 하기
위한 가로대를 만든다.
보통 목재를 사용하지만 8년씩 세워 놓으면 목재가 석어 부서질 수 있으므로,
온실용 파이프를
사용하기로 했다.
세워 놓기를 하기 위한 가로대는 액스자 모양 으로 가둥을 세우는데 교차점은 60센티 높이에서 만든다.
교차점 위에 긴 파이프(가로대)를 올려 놓고 철사로 고정하면 된다.
다음 해 3월 초에, 짚단 아래에서 일년을 보낸
원목을 꺼내 가로대에 기대서
양쪽으로 번갈아 비스듬히 세우면 모든 작업이 끝난다.
표고 수확은 4월초부터 늦가을까지 대략
대여섯 번 수확할 수 있다.
버섯을 딸때는 칼이나 가위로 자르지 말고 반드시 손으로 비틀어서 따야 한다.
표고는
온도와 습도 조건만 맞으면 하룻밤 사이에 모든 원목에서 활짝 솟아난다.
버섯의 형태에 따라 등급이 달라지며 활짝 피기 전에 수확한
것이 가장 좋은 등급이다.
봄이나 가을에 수확한 것은 햇볕에 건조할 수 있으며 생표고(말리지 dskg은 것)보다는 건조한 것이 태양볕에
발효되어 훨씬 우수한 향기가 난다.
버섯이 가장 많이 달리는 시기는 장마철이다. 우기에는 햇볕에 말릴 수가 없는 데다가 2-3일이
지나면 썩기 때문에 그참에 인공 건조기를 쓰면 효율적이다.
24시간 이내에 충분히 건조되고, 표고버섯뿐만 아니라
고추, 갖
무, 무청, 호박 등도 건조할 수 잇다.
표고버섯은 독특한 향 뿐만이 아니라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고,
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어 고급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약 300천본에 심은 경우, 일년 동안의 수확량은 가족과 친지들에게 마음껏 나누어
주고도 500만원 정도 의 수입을 올렸다.
또한 이 첫 번째 농사로 내리 8년 동안이나 표고를 수확할 수 있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팔 수 있는 판매망만 구축할 수 있다면, 처음 설치작업만 남자가 도와주면 주부 혼자 8년 동안 딴일을 하면 서도
넉넉히 관리할 수 있는 부업이다.
참고사항
1. 각 군청 소재지에 있는 산림조합을 방문하면 표고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원목의 구입 처, 작업 안내서, 종균의 구입 등에 대해 도움 받을 수 있다.
2. 종균 주문은 반드시 산림조합에 가입한 후에
해야 한다.
연회비를 내야 하지만 그 가격이 무척 싸다.
3. 조합에 가입하려면 임야를 갖고 있을 경우엔 임야대장을
제출해야 하고,
임야가 없이 농지만 소유했을 때는 토지세 납부 증빙 서류를 준비한다.
4. 표고버섯이나 고추처럼 말려야
하는 식품은 거의 모두 유류에 의한 인공 건조기나
진공 냉동건조를 이용한다.
(물론 햇볕에 말리면 서서히 마르면서 부스러지는 쉬어도
인공건조보다 향이
훨씬 짙어진다 . 대개 건조한 가을 공기 속에서 7-14일 정도 걸리는 데,
한 번이라도 비를 맞히면 썩고
만다. 밤이슬과 밤비에 대비해 반드시 저녁이면
집안으로 들여 놓아야 한다.)
머니~ 머니~ 머니~~ (0) | 2007.02.19 |
---|---|
제주모임 준비들 잘되어 가시지요? (0) | 2007.02.15 |
나날이 발전하는 다음 불로그 (0) | 2006.11.21 |
미안해요 축하해요 (0) | 2006.11.07 |
오늘 KTF 와의 경기 (0) | 2006.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