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      치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 91

2. 문화재명 : 봉화 서동리 석불좌상 (지정사항 없음)

3. 답사후기 :

   서동리 삼층석탑 동탑 왼쪽 나무숲 공원   마사토 바닥에는 대좌없이 홀로 쓸쓸히 결가부좌하고 계신 부처님이시다.

   부처님 두상은 없어지고 새로이 두상을 조각하여 얹어 놓았는데 문화유적 총람에 의하면 이 석불좌상 연화대좌는

   근처 어느 민가 뜨락에 있다 한다.

   참으로 외로와 보이시는 부처님은  고사된 고목에 기대어 춘양면소재지를 바라보고 계신다.  비지정 문화재라고

   하지만 하루빨리 대좌를 찾아 제자리에 앉히시고 보다 관계당국의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4. 답사 사진자료

 

 

 

 

 

 

 

 

1. 위      치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 91

2. 문화재명 : 봉화 서동리 삼층석탑(보물 제52호)

3. 답사후기 :

   우리의 옛님들 비록 깨어지고 헤어지고 하였지만 그 고고하고 아름다운 자태는 천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도 변함이

   없는 것 같다.  서동리 삼층석탑은 동탑에 설명하였듯이 쌍탑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세한 문화재에 대한 설명은

   문화재청 자료를 차제에  사진자료 후미에 올리겠다.

4. 답사 사진자료

 

 

 

 

 

 

 

 

 

 

 

 

 

        

1. 위      치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 91(춘양중학교 교정내)

2. 문화재명 : 봉화 서동리 삼층석탑(보물 제 52호)

3. 답사후기 :

    의양리 석조여래입상은 다행이 주변에 마을 어르신을 만날 수 있어 쉽게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다시 어르신께 서동리 삼층석탑에 대해

    여쭈어 보니 춘양중학교 교정에 있는 서동리 삼층석탑은 없단다?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없어졌다니? 다소 의아해 하면서도 답사시간은

    벌써 15시 30분이 넘어가고 있어 답사가 망설여진다. 하지만 멀리 봉화 춘양면까지 왔는데 찾아 보자는 마음으로 88번 도로를 따라 영월방면

    이동하자니 면소재지가 끝나는 지역  88도로변에 서동리 삼층석탑 안내간판이 보인다.

 

    곧바로 좌회전하여 개울 교량공사가 한창인 지역을 우회전하여 춘양중학교 정문으로 들어서니 운동장 우측으로 서동리 삼층석탑이 쌍탑으로

    우뚝솟아 답사하는 이를 반겨주는 것 같다. 일부분이 깨어지긴 하였으나 이끼하나 없는 높은 가을하늘과 어울릴 정도로 비교적 산뜻하게

    세워져 있다. 여기서 동삼층석탑과 서삼층석탑을 카메라에 담아본다.

4. 답사 사진자료

 

 

 

 

 

 

 

 

 

 

 

 

1. 답사일시 : 2011년 10월 3일(월)

2. 답사장소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 153-1

3. 문화재명 : 봉화 의양리 석조여래입상(경북 유형문화재 제 131호)

4. 답사후기 :

    천성사 경내에 위치한 우리의 옛님들 답사를 마치고 다시 군도를 따라 되돌아 나와 구36번 국도를 따라 울진방면으로

    이동하다 자동차 전용도로로 진입하여 춘양방면으로 향한다.  새로이 건설된 자동차 전용도로는 춘양까지 완공되어

    춘양까지는 비교적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도로는 작년 봄에 불영사와 불영계곡을 거쳐 응봉산  계곡 트레킹을

    위해 달려보았고 또 작년 겨울에도 역으로 강릉 -동해 - 삼척 - 울진을 경유하여 불영계곡과 불영사를 답사한 기억이

    새록새록난다.

 

    나는 아주 오래전에 경북 울진에서 군생활 하였었다. 하여서 저멀리 영덕과 군경계를 이루는 지경과 후포 평해 울진의

   최 북단 고포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울진은 모르는 곳이 없다. 하지만 경북 봉화의 춘양은 몇번 지나치곤 했지만

   오늘 처음 들리는 곳이다.

 

   자동차 전용도를 빠져나와 춘양면소재지 다리를 건너 춘양역 북쪽 건널목을 지나 의양리 석조여래입상을 찾아본다

   절집도 아닌데 의양리 석조여래입상은 보호각내부에 잘 모셔져 있었다.  석조여래입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문화재청 인용문을 나중에 올려 보겠다.

5. 답사 사진자료

 

 

 

 

 

 

 

 

 

 

 

1. 답사일시 : 2011년 10월 3일(월)

2. 답사장소 : 경북 봉화군 봉성면 금봉리 262-2

3. 문화재명 : 천성사 석조여래입상(경북 유형문화재 제 133호)

4. 답사후기 : 천성사는 태고종 사찰로써 이 절집 주존불을 모시는 무량수전내에 본존불로 모시고 있다.

5. 답사 사진자료

 

 

 

 

 

 

 

 

천성사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는 곳에서 계단을 더 오르면 왼쪽 계단위로 무량수전이 보이고 

바로 무량수전 오르는 계단  중간층 화단에 석불입상이 세워져 있다.

 

 

 

 

 

 

 

1. 답사일시 : 2011년 10월 3일(월)

2. 답사장소 : 경북 봉화군 봉성면 금봉리 263

3. 문 화 재  : 천성사 삼층석탑(유형문화재 제134호)

4. 답사후기 : 봉성초교에 있는 봉성리 삼층석탑을 답사하고 봉화향교에 수박 겉핥기식으로 스쳐 지나고 정오가 지나 가족은 점심식사하자고

                  보채는데 마땅히 식사할 장소를 찾지 못해 다시 봉화읍으로 나와 빙글빙글 돌다가 송이 축제장에도 들려 기웃거리고, 가족은

                  금강산도 식후경  점심먼저 먹고 둘러보잔다. 915번도로가 이어지는 어느 식당에 들려 주린배를 채우며 이미 검색하였던

                  북지리 마애여래좌상(국보 제201호) 문화재가 눈에 어른거린다. 여기서 915번 도로를 따라  부석사방향으로  10분만 이동하면

                  답사할 수 있는데  하는 생각에 최초 이동동선을 무진장재부터 시작한 것이 다소 후회가 된다.

 

                 차라리 부석면을 경유 931번도를 따라 온전리 석조여래좌상을 보고 축서사를 답사한후 북지리 문화재 답사를 거쳐 봉화읍에서

                 중식을 하고 상운면으로 이동하여 무진장재 그리고  운계리 폐탑등을 답사하고 봉성리로 방향을 정했었는데 무진장재 삼층석탑을

                 확인해야 겠다는 마음이 앞서 동선을 곧바로 영주시를 거쳐 이동했기 때문이다.

 

                 아뭏튼 봉화읍에서 주린배를 채우고 구36번 2차선 국도를 따라 천천히 천성사로 향한다.

4. 답사 사진자료

 

 

 

 

 

 

 

 

 

 

 

 

 

 

 

 

 

 

 

 

 

 

 

봉성리 석조여래입상을 답사하고 봉성면 소재지에 위치한 봉성초등학교 교정에 세워져 있는

봉화 봉성리 삼층석탑을 답사하여 봅니다.

 

 

 

 

 

 

 

 

 

 

 

 

 

 

 

<앗?  삼층석탑 기단부 아래에 옥개석(지붕돌)으로 보이는 화강암 석재가 보이네요>

1. 답사일시 : 2011년 10월 3일 (월)

2. 답사장소 : 봉화 봉성리 석조여래입상

3. 누구와 :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우리 옛님 만나러

4. 답사후기 : 봉화군도 군도를 따라 상운면 문촌리에서 나와 봉성면 방향으로 차량을 돌려본다

5. 답사 사진자료

 

 

 

 

 

 

 

 

 

 

 

1. 답사일시 : 2011년 10월 3일(월)

2. 답사장소 : 무진장사지 삼층석탑

3. 답사후기 :  금년도 10월은 개천절 연휴와 더불어 시작된다.

벌써 강원도는 새벽에 얼음이 된서리가 내릴 정도로 기온이 내려가니

월동준비를 위한 태양초 다듬어 빻기 등 겨울을 나기위한 준비가 시작된 듯하다.

 

나의 가정도 마찬가지 엊그제 연휴는 매실 액기스 걸르고, 고추다듬기 빻아주고

풋고추 절이기 도와주며 그렇게 이틀을 보내니 어제는  역마살 습관이 도져

어디론가 지역 가을축제장을 돌아보든, 문화재 답사를 하든 뛰쳐 나가고 싶어진다.

 

이러한 마음에 오늘은 몇번이고 "한국사지총람"에서 경북 봉화군 폐사지를 검색하다

"무진장사지"에 삼층석탑 1기가 "무진장재" 남쪽 바깥쪽에 있다 하기에

그곳을 찾아 보기로 하고 봉화지역으로 답사를 떠나본다.

 

"한국사지총람" 기록된 봉화 무진장사지에 관한 설명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위   치 : 경북 봉화군 상운면 문촌리 505


무진장재 남쪽 산자락과 북동쪽의 밭에 위치한다. 사찰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조선 중종때 봉화 금씨문중에서 이 일대를 매입하여 남아 있던
사찰건물을 재사로 개축하여 오늘에 이른다.

재사 부근에는 건물 주초석과 기단석 등이 많이 노출되어 있었는데,
무진장사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초석과 기단석 일부는 망실
되었고 일부는 밭 경작에 의해 매몰되어 있다.
무진장재 바깥 남쪽에 삼층석탑 1기가 있는데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

답사결과  " 한국사지총람"에서 설명 하듯이 무진장재 바깥 남쪽

은행나무아래에 기단석 없는 삼층석탑 1기가 있었습니다.

 

4. 답사 사진자료

 

 

 

 

 

 

 무진장재 남쪽 바깥쪽  산기슭 은행나무 아래에 지대석과 기단석은 보이지 않고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는 원래의 제자리가 아니라 합니다.

1층 탑신석(몸돌)은 약간 묻힌듯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각층 몸돌은 양 우주과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고 지붕돌 층급받침은 3단으로

두툼한 듯 하였습니다.

 

 

 

 1층 몸돌과 2 , 3층 몸돌이 다소 다른듯이 보였는데 화강암 재질은 확연 달랐고 2, 3층 몸돌 괴임은 2단으로

지붕돌에 비해 다소 작아 보이는 느낌 이었습니다.

 

 

삼층 지붕돌과 노반은 하나의 화강암으로 되어있구, 노반 상단부에는 찰주공이 뚫여 있었습니다.

 

 무진장재 내부입니다.

무진장재는 "경북 문화재 자료 152호"로 등록되어있구, 1년여 전까지 빈 재사로 관리인없이

방치되어 있다가 현재는 "봉화 금씨" 문중을 잘 아시시는 지현스님이 관리인이 사용하던 무진장재 입구 농가와

무진장재를 스님 요사채로 수리하여 사용하고 계셨습니다.

사진 우측중앙상단부 소화기가 있는 방이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으로 사용하고 있었고,

 

지현스님은 강원도 원주에 계시다 이곳으로 오셨다 합니다.

마침 저도 집이 원주인지라 스님이 끓여주시는 따뜻한 차 한잔을 마시며

무진장사지에 대한 내력과 주변 절터이야기, 무진장재에 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귀중한 답사시간 이었던 것 같아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