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사지는 귀래면 주포리 산 25-2번지 황산골에 소재하고 있다. 황산사지에는 석조대웅전, 목조산신각, 요사 등 3동의 건물이 있었다고 전한다. 황산사(黃山寺)는 신라 경애왕대(924-926)에 지어졌다고 하 며, 창건이래 고려·조선조를 거쳐 연산군대(燕山君代)에 이르 러 폐사(廢寺)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경순왕의 공주가 이 절에 와서 부왕(父王)의 존상(存像)을 산정 석벽(山頂 石壁)에 조각케 하였고, 그 후 경순왕이 직접 이곳에 와서 존상(存像)을 보고 환경(還京)한 후부터 산명(山名)을 대왕산(大王山)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귀한 분이 왔다 하여 동리 이름을 귀래(貴來)라고 하였다고 전한다. 황산사지 뒷산은 미륵산으로 불려지는데, 이는 정상에 대형의 마애불이 있기 때문으로 마애불은 미륵산 상봉의 거대한 바위하나에 조각하여 약 4km 밖에서도 그 형태를 식별할 수 있다. 황산사지에는 고려(高麗) 전반기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이는 석탑 1기와 아울러 석조부도 2기가 있는데, 학서당부도(鶴西堂浮屠)와 서응당부도(西應堂浮屠)이다. 이는 석종형(石鐘形) 부도로 대석(臺石) 1석(石)과 신석(身石) 1석(石)으로 구성되어 있다. 황산사지(黃山寺址)는 고려시대의 것이고 석등부재도 고려시대의 조성품이나 부도 2기(基)는 모두 조선시대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학서당(鶴西堂) 부도는 대석(臺石)과 보주(寶珠)에 큼직한 앙련(仰蓮)이 새겨져 있어 주목된다. < 퍼온 글> < 도리 답사기> 언젠가 미륵산을 꼭 오르고 싶었던 마음에 아침부터 부산을 떨며 가족 가사일을 얼렁뚱땅 도와주고 함께 원주시 귀래면 주포리에 위치한 미륵산을 찾아 보았습니다. 원주시 흥업면 한라대학교가 위치한 무명 지방도로를 따라 가다가 흥업면 대안리를 따라 대안 저수지를 우로하고 문막읍 비두리로 향하는 포장길로 노루재를 넘어 비두리에서 귀래리로 향하는 도로를 따라 귀래방면으로 내달리니 아홉사리 재 정상에서 미륵산으로 향하는 시멘트 포장길이 나오던 군요 아홉사리재에서 1.5킬로미터 쯤 되는 위치에 황산사지 입구가 나오고 도로면 적당한 공간에 차량을 주차하고 산을 오르니 그입구에는 경순왕영정각을 세우는 역사가 한창이더군요 공사장 좌측으로 돌아 등산 안내 간판을 따라 30여분 오르니 황산사지가 나오고 다시 20분정도 오르니 미륵산 정상(미륵봉)에 다다르니 거대한 암반에 새겨진 미륵산 마애불이 천년의 세월동안 동쪽 백운산을 바라보며 자리를 지키고 있더군요 미륵산 미륵불과 황산사지는 위의 펌 글에서 참고 하시구여 모처럼 땀흘리는 하루가 되어 상쾌하기만 합니다 ㅎㅎㅎ |
|
'북원 문화유적 답사 > 기타 북원유적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 통일신라 북원경의 영원산성과 대하소설"토지" (0) | 2006.05.18 |
---|---|
도대체 어디서 가져다 놓았단 말인가? (0) | 2006.05.18 |
원주시 태장동 청동기~조선시대 유물발굴 (0) | 2006.05.17 |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 "사적"으로 지정 (0) | 2006.05.17 |
제자리를 잃은 우리지역 문화재 (0) | 2006.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