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방이라도 천둥 번개가 치면 한줄기 비바람과 폭풍우가 휘몰아 칠것 같은 주말오후입니다.

주말이면 가보고 싶은 곳이 하나 둘이 아니다 보니 이번엔 가까이 있으면서도 멀게만 느껴지던

정선 5일 장터를 찾아 보았습니다.

 

영동 고속도로 새말 IC를 나와, 42번 국도를 따라 한우의 고장 횡성 안흥을 지나 평창군에

접어들면 곧바로 문재터널이 나오고 평창군 방림면 검문소가 나오면 우회전하여 평창읍내로

진입하게 되고, 평창읍내를 통과하여 계속하여 42번국도를 따라 평창군 미탄면을 통과하면

곧바로 비행재 터널을 나와 정선군으로 접어들게 되는데 이정표에는 비행재입구부터는 행정

구역상 정선읍으로 표기되어 있더군요.

한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는 지금은 비행기재가 터널로 통과하여 아주 수월하게 정선군으로

진입하게 되지만 과거 터널이 뚫이지 전에는 비행기재가 얼마나 급커브와 높은 재로 되어 있는지

버스 앞좌석이나, 뒷자석에 탑승 할 경우 급경사 절벽박으로 커브를 돌때마다. 저절로 아찔한

마음에 " 으~~아" 소리가 자기도 모르게 나오고 마치 비행기를 탄 기분이라 하여 비행기재라

하는 군요. ㅎㅎㅎ

아뭏튼 비행기재를 지나 정선읍 광하리를 통과하니 가라왕산 가는 길이 나오고 계속 5킬로미터

정도 더 이동하니 이내 정선읍내가 보이더군요.

정선 5일 장터는 듣던대로 정선읍 인구에 비해 외지 관광객들이 많아서 그러한지, 시골장터의

전형을 보는 듯 했구여, 때마침 고산지대의 산나물이 장터의 주종을 이루고 있었던것 같아요

곤드레, 참나물, 취나물, 더덕, 고사리 .....

아울러 정선 아라리 장터에서의 정선아리랑 공연은 그야말로 인상적 이었어요

보고 느낀것은 영상에 담아 한컷 씩 담아 보았습니다.

 

 

 

 

<정선 5일장 아라리 장터에서의 한마당 공연장면>

 

 

 

 

<장을 보러온 주민들과 어우러져 덩실덩실 추는 아라리 춤이 정겹습니다>

 

 

< 장텅에 나온 골동품들의 주인은 누가 될까요 ? >

 

 

< 장바닥에 너저부리 쌓은 것은 더덕입니다 >

 

 

< 애구 이것이 무엇이고 하니 제 별명인 곤드레 입니다 ㅎㅎㅎ>

 

 

 

<정선 먹거리 장터, 메밀묵, 도토리묵, 메밀전, 감자전,막국수,콧등치기, 곤드레밥등등>

' 전국답사 여행기 > 바람 부는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원의 태백시 그리고 황지연못  (0) 2006.11.26
소양강 다목적댐에 가다  (0) 2006.10.29
바닷가에서  (0) 2006.10.04
참새와 허수아비  (0) 2006.09.24
한반도 지형의 영월 선암마을  (0) 2006.05.31

정선 아리랑 하면 아마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거예요. 하지만

평창 아라리라고 들어 보신적 있나요? 

 

평창 아라리는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일대에서 널리 불려져 오고 있는

노래로써 많은 애환과 정한을 담고 있는 평창지역의 정통 아리랑이다.

 

평창군 미탄면 회동리 청옥산 육백마지기 부근에는 옛부터 곤드레,

딱죽이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산나물이 밀집되어 봄철 춘궁기에

주민들이 이곳에서 산나물을 뜯어 갱계를 유지하며 살아왔다.

 

당시의 어려운 생활과 한을 달래기 위하여 해학과 풍자가 어우러져

불려지는 평창아리랑의 특징은 정선아리랑과 음율이 같으나

평창아리랑에는 후렴이 없는 것이 그 특징이며, 정선아리랑의 곡조는

평창아리랑의 곡조에서 비롯되어 그역사가 깊다고들 한다.

 

아래의 사진은 평창아라리의 모형탑을 우연한 기회에 포착하여

한 컷 찍었습니다.

 

 

 

 

 

 

 

 

강원도 정선에서 평창을 거쳐 영월로 흐르는 동강(남한강 상류) 입니다

멀리 삼각형으로 보이는 곳이 칠족령이라 하고 희미하게 보이는 절벽아래

백룡동굴( 천연기념물 260호)이 위치해 있어요.

주변의 백운산에서 내려다 보는 동강줄기는 정말 아름답기 그지 없지요

(담에 등산해 올려 들릴께요 사실은 두번 등산했는데 기록물이 없네요 ^^*)

주인을 기다리며 매어있는 쪽배가 정겹네요

겨울의 문턱에 들어선것 같아요
대관령을 넘는 바람이 제법 옷깃을 여미게
할 정도로 매섭게 불고 있어요.

오늘처럼 화창한 대관령의 날씨도
찾아보기 힘든데 오늘은 제법 화창해 멀리
능경봉이 다 보이는 군요

저멀리 대관령 아래로는 동해 바다와
강릉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오는데 시계는
시가지는 농무로 인하여 한폭에 담지 못함이
아쉽기만 하네요

참 그리고 대관령에는 요즈음 풍력발전기 건설이
한창인데 14기 완공되었고 앞으로도 35기를 더
건설 한다는 군요.

대관령 삼양축산 목초지를 비롯하여 매봉
선자령, 그리구 풍력발전기도 앞으로 관광자원으로
한몫 할 것 같네요.

그리고 머니해도 대관령 하면 눈, 그리고 스키장이
아닐까 생각되어지는군요. 발왕산북쪽 정상에서
내달리는 슬로프는 그야말로 동계스포츠의 메카가
대관령이 아닌가 싶군요.




 

작년 8월 개봉되어 관람객 820만을 기록한  "웰컴투 동막골"을

기억 하시나요?  이름있는 유명 배우는 아니었지만 금년도

최고의 흥행작으로 일컬어 지고 있지요 ^^

 

덕분에 강원도 사투리도 유명해 지구여. 아울러  동막골의

박 광현 감독은 청룡영화제 신인 감독상도 먹구여

강 혜정은 여우 조연상을 타기도 했다지요.

 

그러한 "웰컴투 동막골" 탄생시킨 동막골 세트장

겨울은 어떠 할 런지요.



<정자각에서 바라본 동막골 >

동리 한가운데 고목나무는 아직도 녹색잎을 머금고 있네요. 글구 멀리 촌장집도 보이구여



<눈속에 파묻힌 초가집>



<촌장집>

마루에는 쌀가마로 보이는 소품이 있고 평상은 아직도 코믹하게 그려지는 국군과 인민군의 대치

장면을 연상하게 하네요



<양지바른 곳의 너와집이 참으로 정겹네요. 지게에 소쿠리까지 ㅎㅎㅎ>

우리의 역사는 지게의 역사가 아닐런지요. 지도 지게지고 나무 참 많이도 했는데>

' 전국답사 여행기 > 고향에 사노라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꽃 전경  (0) 2008.01.24
파란마음 하얀마음  (0) 2008.01.23
웰컴투 동막골 세트장을 가다  (0) 2006.05.17
미지의 세계 백룡동굴  (0) 2006.05.17
대관령의 설경  (0) 2006.05.17
지난해 8월 그 무덥던 여름 극장가를 뜨겁게 달아오르게한
영화 "웰컴투 동막골"을 관람 하셨나요?
지난 8월 4일 전국동시 개봉한 웰컴투 동막골 촬영지가
직장 가까이에 있어 세트장을 다녀 왔어요.
강원도 산골 굴피집으로 지붕을 이어 올린 촌장집을 비롯해
국군( 신하균) 인민군( 정재영, 임하룡) 미군(테슬러)이
동막골에 들어와 엮어지는 코믹하면서 과거로부터
지금을 돌이켜 볼수 있는 동막골 세트장을 올려봅니다
촬영은 작년 겨울 강원 평창군 미탄면 율치리 세트장과
대관령일대에서 촬영한 것으로 기억되어지구여
저는 지난 7월 28일 박광현 감독께서 평창 문화예술관에서
시사회를 가질때 운좋게도 관람 하였습니다 ㅎㅎㅎ








 

' 전국답사 여행기 > 고향에 사노라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꽃 전경  (0) 2008.01.24
파란마음 하얀마음  (0) 2008.01.23
웰컴투 동막골 세트장의 겨울  (0) 2006.05.17
미지의 세계 백룡동굴  (0) 2006.05.17
대관령의 설경  (0) 2006.05.17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하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메밀꼭 필 무렵의 고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흥정산에서 발원한 흥정계곡의 흥정천은 봉평시내를 휘감아 돌며
금당계곡을 지나 평창강으로 흐르니 맑은 시냇가 흐르는 물은 강원 평창군의 또하나의
관광자산은 아닌지?

90연대중반에 봉평 무이리에 휘닉스파그( 리조트, 골프장)가 들어서면서 여기 저기 세워진
펜션들은 말 그대로 난개발을 초래하지는 않았는지?

아뭏튼 봉평에서는 매년 9월초면 효석문화제가 다채롭게 열려 효석문학의 밑거름이 된
봉평지역을 모처럼 찾아 보았습니다. 봉평에서 6번 국도를 타고 2킬로 횡성방향으로 가다
흥정계곡입구에서 흥정천을 따라 올라가면 허브나라 관광농원이 위치해 도심에서 찌든
우리네를 다채롭고 향긋한 허브향으로 우리를 이끄는 곳이 아닌가 해서 소개해 드립니다

*찾아 가는길
영동고속도로 면온인터체인지 - 보광 휘닉스 파크를 지나 - 봉평방면으로 계속가면
4차선 확장된 봉평외곽도로에 진입하자 마자 봉평 구도로 좌회전하여 2킬로 정도가면
흥정계곡 입구가 나오고 약 5킬로정도 아스콘으로 포장된 단차로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허브나라에 도달함
영동고속도로 장평인터체인지 - 봉평시내를 거쳐 2킬로 정도 가면 흥정계곡입구에
다다르고 계곡을 좌측에 두고 계속 올라가면 허브나라에 도달함


 

 

 

 

 

 

 

 

 

 

 

 

 

 

 

 

 

 

 

 

 

 

 

 

 

 

 

 

 

 


 
영동고속도로를 내달리다 횡성군 우천면 새말 인터체인지를 나와 42번국도를 따라
안흥찐빵으로 유명한 안흥, 평창군 방림, 평창읍을 지나 계속 내달리면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42번 국도로 계속하여 임계, 동해 방면으로 가다보면 북평면
나전을 지나 정선군 북면 여량리 정선 아리랑의 아우라지에 이르게 된다.

정선(旌善)아리랑은 ‘아라리’라는 이름으로 정선을 중심으로 강원도와 경북 북부지역, 충북지역, 경기도 동부지역에서 오래 전부터 구비전승 되어온 민요다. 정선아리랑의 역사는 지금으로부터 약 600년 전인 조선시대 초기(朝鮮 初期)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가 망한 후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다짐하던 선비들이 송도(松都)에서 은신 하다가 그 중 7명이 정선(지금의 남면 거칠현동 居七賢洞)으로 은거지를 옮기게 되었다. 이들은 지난날 고려왕조에 대한 충절(忠節)을 맹세하여 일생 동안 산나물을 뜯어먹으며 생활을 했다. 그러면서 입지 시절의 회상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의 심정(心情)을 한시(漢詩)로 지어 율창(律唱)으로 부르곤 했다. 이들이 지어 비통(悲痛)한 심정을 담아 부르던 시는 마을 사람들이 부르던 소리 가락에 실려 애절함을 더해갔다.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수하던 조선 후기부터 아리랑이 전국적으로 널리 퍼지게 되자 명맥을 이어온 정선의 소리에 “아리랑 아리랑...”이라는 음율을 붙여 부르면서 ‘후렴구’로 자리잡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정선아라리’ 또는 ‘정선아리랑’이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사람들은 나라를 빼앗긴 민족(民族)의 서러움과 울분을 애절한 가락에 담아 불렀다. 한국전쟁 이후 남북이 분단되자 반공(反共)의 분위기를 드러냈고, 통일에 대한 간절한 염원을 담아 부르기도 했다.

정선아리랑에는 시대 정신이 그대로 배어있다. 그러면서 남녀간의 사랑과 그리움, 남편에 대한 원망, 시집살이의 서러움, 고부간의 갈등, 산골마을의 지난한 삶, 떼타는 일의 고단함과 유희 등 삶의 희노애락(喜怒哀樂)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이렇게 구전되어온 정선아리랑은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강원도의 대표적인 무형문화유산이 되었고, 체계적인 전승과 보전으로 오늘날 우리나라의 수많은 아리랑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아리랑으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미지의세계 백룡동굴(강원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소재)입니다(그림퍼옴)

지금은 어느누구도 감히 접근할수 없는 우리지역의 천연기념물

백룡동굴은 4~5억년전에 형성된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답니다

 

<백룡동굴 종유석>

 

<동굴내 기형종유석>

 

<에그플라이 석순>

 

<동굴산호 일명 팝콘>

 

<석주 >

 

<종유석과 석주>

 

<석주>


' 전국답사 여행기 > 고향에 사노라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꽃 전경  (0) 2008.01.24
파란마음 하얀마음  (0) 2008.01.23
웰컴투 동막골 세트장의 겨울  (0) 2006.05.17
웰컴투 동막골 세트장을 가다  (0) 2006.05.17
대관령의 설경  (0) 2006.05.17

강원도 산간지역 대설경보가 발령되던 지난 2월 16일(수요일)

줄곧 대관령에 남아 있어 쏟아지는 눈속에 한장의 사진을

담아 보았습니다.

그날 68센티가 내려 빠져나오느라고 혼쭐 났습나다

<대관령 능경봉 아래 지역 허벅지 까지 빠지는 눈땜시 겨우통로만 눈치우고 다녔음>

' 전국답사 여행기 > 고향에 사노라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꽃 전경  (0) 2008.01.24
파란마음 하얀마음  (0) 2008.01.23
웰컴투 동막골 세트장의 겨울  (0) 2006.05.17
웰컴투 동막골 세트장을 가다  (0) 2006.05.17
미지의 세계 백룡동굴  (0) 2006.05.17

+ Recent posts